본문 바로가기
일반 사무

신재생에너지 발전(태양광주택) 전기요금 부과방식

by 운동하는 직장인 2023. 7. 24.

안녕하세요? 

 

2023년 신재생에너지보급(주택지원)사업 지원공고 

별첨 5에 있는 신재생에너지 발전(태양광주택)

전기요금 부과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12년 1월부터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설치 시,

기 설치된 수전용 계량기 외에 잉여전력용 계량기를

추가로 설치하도록 의무화 되었습니다.

 

1) 수전용 계량기란?

  - 일반적 건물에 설치된 계량기로 한전으로부터

수전 받아 사용하는 전기사용량을 표시하는 계량기

 

2) 잉여전력용 계량기란?

 - 발전설비를 통해 생산한 발전량이

건물에서 소비한 전력량보다 많을 경우

잉여 전력량(발전량소비량)을 표시하는 계량기

 

* 전기사용량 : 한전에서 수전 받은 전력량, 

전기소비량 : 자가발전을 통해 소비되는 전력량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통해 생산된 전기는

건물에서 바로 소비되므로

(수전용, 잉여전력용)계량기에는 표시되지 않으며,

발전량이 전기 소비량보다 클 경우만

잉여전력용 계량기에 표시

 

<전기사용량 계산 흐름도>

 

① 태양광 발전설비를 통해 생산된 전기는 건물의 전기 계통에 연결 됨

② 발전된 전기를 건물에서 소비

③ 자가 생산․소비 후 남은 잉여전력량을 잉여전력용 계량기에 표시

④ 자가 생산․소비 후 부족하여 한전으로부터 수전 받은 전력량을 수전용 계량기에 표시

⑤ 전기 사용량(수전 전력량 값) ― 잉여전력량(잉여전력 계량 값)

    = 전기요금계산 값(최종 전기 사용량),

    사용요금은 상계 후 전력량에 대해 부과

    부가세는 수전 전력량, 잉여전력량에 대한 요금을 부과

 

전기요금은 이 둘을 상계한 A-B에 대해서만 부과된다. 만약 내가 한전으로 보낸 전기가 더 많다면 남는 전력량 B-A는 다음 달로 이월된다. 이렇게 되면 매월 조금씩 남는 전기를 모아두었다가 여름철의 에어컨이나 겨울철의 히터처럼 많은 전기를 필요로 하는 곳에 요긴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는 상계전력량 
A-B가 아닌 한전에서 받은 수전전력량 A를 부가세의 과세기준으로 본다. 세법상으로는 사업자인 한전의 전력송출을 별개의 거래로 보고 이를 과세의 기준으로 삼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부가세는 수전전력량 300kWh의 전기요금인 39,050원을 기준으로 3,905원이 부과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더 이상 전기요금 고지서가 두렵지 않은 태양광 (패시브하우스 콘서트, 2014. 11. 30., 배성호)

 

지금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태양광주택)

전기요금 부과방식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